본문 바로가기

바리스타

바리스타 명칭의 의미와 커피의 종류_국제 바리스타 SCA 자격증 국비지원수업 1

바리스타 명칭의 의미와  커피의 종류

국제 바리스타 SCA 자격증 국비지원수업 첫번째 시간

 

드디어 첫 수업을 했습니다! 첫 수업에는 이론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많이 배웠습니다.

수업을 해주신 바리스타 분은 이OO 바리스타님이신데요.(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성만 공개..ㅎㅎ)

19년 이상 바리스타를 하셨어서 정말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정보들을 알려주셔서 수업이 참 재밌었습니다.

첫수업 이론 내용을 공부 겸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첫번째로 바리스타라는 단어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바리스타라는 단어는 커피만드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럼 바리스타라는 단어는 어디서 나왔을까요? 원래 있었던 단어일까요?

정답은 스타벅스에서 나온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유럽에서는 보통 Bistro에서 음식이랑 다른 음료랑 같이 커피를 만든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커피전문점이 시작하면서 우리는 커피가 따로 빠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일본 역시도 예전에는 차랑 같이 먹는 분위기였다가 지금은 바리스타라는 단어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요즘은 '커피전문'이라는 문화가 전세계적인 추세가 되는 분위기이죠.

 

바리스타는 완벽한 커피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인데요, 이 '완벽한 커피'에 대한 기준을 새롭게 알려주셔서 참 좋았습니다.

커피의 기준은 주관적입니다. 어떤 사람은 신맛이 나는 커피를 좋아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꽃향이 나는 커피,

어떤 사람은 진하고 쓴 커피를 좋아하기도 하죠. 그래서 내가 맛있고 나와 같은 입맛을 가진 사람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커피를 만드는 정도까지만으로도 좋다고 합니다. 굳이 전문적인 단계까지가야 바리스타가 되는게 아니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커피 메뉴

가장 기본적인 커피 메뉴 6가지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카푸치노, 카페모카, 카라멜마끼야또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에스프레소

먼저 에스프레소는 영어 express에서 유래된 말로 '빠르다, 짜내다' 라는 단어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이탈리아가 원조이고 한잔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7g 정도를 사용한다고 하네요.

92-96도씨의 뜨거운 물을 가지고 8에서 10기압의 높은 압력을 가지고 추출합니다.

20-30초 동안 30ml를 뽑아냅니다. 온스로는 1온스라고 합니다. 

원액의 음료로 이걸 가지고 다른 음료들이 만들어집니다.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 물

미국 사람들이 즐겨마시는 스타일의 커피라는 뜻으로 이 이름은 미국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미국 사람들이 즐겨 시켜먹었던 메뉴라고 합니다. 롱블랙이랑은 조금 다른데, 롱블랙은 에스프레소를 7g로 계속 뽑아서 30ml가 아니라 150ml를 뽑는 것으로 아메리카노보다 커피 맛이 자극적이고 거칠게 먹는 맛이 납니다.

반면 아메리카노는 깔끔한 맛이 특징! 한국인들이 사랑하는 아.아 식후에 먹으면 음식 맛도 잡아주고 입안이 개운하죠!


카페라떼

에스프레소 + 우유

커피라는 단어는 일본에서는 '코이', 스페인에서는 '카르베', 유럽에서는 '카페'라고 한다고 합니다.

저는 카페가 흔히 생각하는 커피마시는 cafe로 알았어요 '-';;

그래서 카페라떼를 직역하면 사실은 커피우유라는 셈!


카푸치노

카페라떼와 카푸치노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바로 거품의 차이라고 합니다.

프랜차이즈에서는 사실 두개 차이가 거의 없다고 하네요;;

우유가 커피양 대비 많이 들어가서 부드러운게 카페라떼이고 카푸치노는 커피의 자극적인 맛을 상쇄시키는 우유가 상대적으로 적고 거품이 있어서 카페라떼보다 무겁게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카라멜마끼야또

에스프레소 + 우유 + 카라멜

마끼야또의 뜻은 '점을 찍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원래 우리나라 먼저 들어온 것은 에스프레소 마끼야또로 에스프레소 위에 점을 찍듯 우유거품을 올리는 거였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지는 않죠 너무 써서.

그래서 스타벅스에서 우리나라에서 만든 변형음료가 카라멜마끼야또라고 하네요. 

마끼야또의 점을 찍다는 의미보가 '더럽혀지다'라는 의미로 쓰기 위해 일부러 커피 위에 카라멜 소스를 마구 뿌립니다.


카페모카

에스프레소 + 우유 + 초코

모카는 커피의 통칭이라고 합니다. 근데 어떻게 초코가 들어가는 카페모카에 '모카'라는 말이 붙게 되었을까요?

세계 3대 원두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하와이 코나, 예멘 모카 마타리에서 예멘의 모카 마타리 원두가 다크 초콜렛 향이 강하다고 합니다. 여기서 나온게 모카! 

모카라는 이름이 들어간 음료는 커피 + 초코가 들어가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하네요.

 

이상! SCA바리스타 자격증 수업에서 배운 바리스타 명칭의 의미와 커피의 종류에 대해서 배운 것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